본문 바로가기
부업

프리랜서 5가지 가격 협상 기술로의 수익 극대화

by up-find 2025. 4. 16.

프리랜서로 일할 때, 기술과 실력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가격 협상’이다. 똑같은 작업을 하고도 누구는 10만 원을, 누구는 100만 원을 받는다. 이 차이를 만드는 것은 결국 협상의 힘이다. 특히 수익을 극대화하고 싶다면, 단순히 “이 정도면 괜찮겠지”라고 생각하는 순간 기회를 놓치게 된다. 이 글에서는 프리랜서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가격 협상 기술 5가지를 소개한다.

1. “얼마까지 생각하셨어요?”로 대화의 주도권을 잡아라

협상의 첫 단계는 ‘상대의 입’을 먼저 열게 하는 것이다. 많은 프리랜서들이 “제 가격은 얼마입니다”라고 먼저 제시하지만, 협상의 고수는 먼저 클라이언트가 생각하는 예산을 물어본다. 이 한 문장이 협상의 흐름을 완전히 바꾼다:“혹시 예산은 어느 정도로 생각하고 계셨나요?”

이 질문은 두 가지 이점을 준다. 첫째, 클라이언트가 생각보다 높은 예산을 가지고 있는 경우, 그 기회를 놓치지 않게 해준다. 둘째, 예산이 낮을 경우에도 처음부터 기준점을 잡고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예산이면 이 정도 범위로는 가능합니다”처럼 말이다.

주도권을 먼저 잡는 것이 협상의 기본이다. 나의 단가를 먼저 말하지 말고, 클라이언트의 입장과 조건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시작이다.

2. 가격이 아니라 ‘구성’을 조정하라

클라이언트가 단가를 낮춰달라고 요청할 때, 많은 프리랜서들이 당황하며 그대로 가격을 깎아준다. 하지만 현명한 프리랜서는 ‘단가’가 아니라 ‘구성’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원래 100만 원에 제안한 프로젝트를 클라이언트가 70만 원까지 깎고 싶어 한다면, 이렇게 말할 수 있다:“70만 원 예산에 맞추어 핵심 기능 위주로 구성해드릴 수 있어요. A, B, C 기능 중에서 A, B만 포함하고, 디자인은 기본 템플릿으로 제공해드릴게요.”

이렇게 구성과 범위를 조정하면, 프리랜서도 손해를 보지 않고, 클라이언트도 예산 안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할인’이 아니라 ‘옵션 조정’이라는 프레임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프리랜서의 전문성과 통제력을 보여주는 강력한 기술이다.

3. 금액 대신 ‘가치’를 이야기하라

단가를 높이려면, ‘노동의 양’이 아니라 ‘성과와 가치’를 중심으로 협상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글쓰기 프리랜서가 블로그 글 1편에 10만 원을 요구했을 때, 클라이언트가 “다른 사람은 5만 원에 해주던데요”라고 말한다면 어떻게 대응할까?

단순히 “저는 더 잘 써요”라고 말하면 설득력이 떨어진다. 대신 이렇게 말해보자:“저는 검색 노출까지 고려한 키워드 전략과 CTA를 포함해 글을 작성합니다. 실제로 지난달 작업한 글은 유입이 2배 이상 늘었습니다. 단순한 글이 아니라 ‘성과를 내는 콘텐츠’를 드리는 것이기 때문에 비용도 그만한 가치를 반영한 금액입니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클라이언트는 ‘단순한 단가 경쟁’이 아니라 ‘성과와 결과’를 기준으로 판단하게 된다. 가격 협상의 핵심은 결국 자신의 작업이 왜 더 높은 가치를 가지는지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다.

4. ‘긴급성’과 ‘희소성’을 활용하라

프리랜서가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면, 항상 바빠 보이는 것이 좋다. 아무리 시간이 많아도 이렇게 말하자:“현재 예약이 밀려 있어서 다음 주부터 착수 가능합니다. 혹은 이번 주 급행으로 진행할 경우에는 급행 요금이 추가됩니다.”

‘긴급성’은 클라이언트에게 선택의 압박을 주고, ‘희소성’은 당신의 가치가 더 높아 보이게 만든다. 또한, 이 전략은 급행 요금 부과의 정당성도 자연스럽게 확보해준다. 프로젝트가 시급할 경우, 클라이언트는 일정 맞추기를 우선으로 고려하므로 요금 인상에 쉽게 수긍하게 된다.

희소성은 단지 일정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 구성은 이번 달까지만 적용되는 프로모션입니다”처럼 한정된 혜택도 클라이언트를 자극하는 효과적인 전략이다.

5. 명확한 기준과 조건을 문서로 남겨라

협상 후에는 반드시 구체적인 견적서, 계약서, 작업 범위 문서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해야 한다. 이것이 협상의 마지막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다.

  • 작업 내용과 구성
  • 기간
  • 수정 횟수
  • 추가 요청에 대한 요금
  • 지급 조건(선금, 중도금, 잔금)

이런 내용을 명확히 문서화하면, 나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해나 분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는 프리랜서의 전문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도 있다. 많은 클라이언트들은 ‘제대로 일하는 사람’과 일하고 싶어 한다. 결국, 프로세스를 갖춘 프리랜서가 고수익을 가져간다.

※ 당신이 가격을 결정할 수 있어야 진짜 프리랜서다!!

프리랜서의 수익은 기술과 시간이 아니라, ‘협상의 힘’에서 만들어진다. 단순히 요청받은 금액에 맞춰 일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가격 철학과 전략으로 이끌어야 한다. 협상은 단가를 높이는 과정이 아니라, 당신의 가치를 설득하는 과정이다.

요약하자면 다음 다섯 가지 협상 전략을 기억하자:

  1. 예산을 먼저 물어보고 주도권을 잡는다
  2. 가격이 아닌 작업 범위를 조정한다
  3. 결과와 가치를 근거로 가격을 설명한다
  4. 희소성과 긴급성을 활용해 요금 프리미엄을 만든다
  5. 계약 조건을 문서화하여 명확한 신뢰를 구축한다

이 다섯 가지 기술을 숙달하면, 단순히 일거리를 따내는 것이 아니라 나만의 브랜드와 수익을 만드는 프리랜서로 성장할 수 있다.